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5

시작하기에 늦은 때란 없다 시작하기에 늦은 때란 없다 해당 도서를 읽어본적은 없지만 제목이 전달하는 내용이 정말 좋습니다. 막 힘이나서 무엇이라도 할 수 있을 것 처럼.. 프롤로그 고등학교 졸업 후 재수를 시작하면서 다닌 종합학원에서 분기마다 논술고사를 봤었습니다. 그 당시 글이라고 써본 것은 방학 숙제로 원고지에 작성한 독후감이 전부였습니다. 논술고사를 볼 수 있는 대학교는 갈 수나 있을까? 그럴 일 없으니 편하게 보자라고 생각해서 봤습니다. 결과는 논술고사는 1등급이 나왔었습니다. "음..어쩌면 글을 쓰는 능력을 타고난 것인가.." 하면서 아주 잠깐 우쭐해있었습니다. 나중에 인터넷 검색하다 본거 같은데, 채점 알바 해주시는 분들이 있다고 들었고 그분들이 커피숍에서 논술고사 용지를 쌓아놓고 아주 빠르게 채점을 하고 있다는 글을 .. 2022. 5. 15.
[ELK] MacOS docker로 설치 회사에서 준비중인 웹 프로그램에서 ELK와 연동하여 수집된 로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ELK를 학습하기 위해서 회사 내부에서 강의를 수강중에 있는데, 해당 내용을 복습하고 정리한 내용을 올리려고 합니다. 그래서 먼저 로컬에서 ELK를 설치하여서 실습을 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려고 합니다. 참고 ELK 설명 - elk-stack 설치 관련 참고 - docker-elk 환경 OS : MacOS 사전 준비 Docker Engine 버전 18.06.0 또는 최신 버전 설치 Docker Compose 버전 1.26.0 or 최신 버전 (Compose V2 포함) 설치 메모리 1.5 GB 설치 진행 Git Clone git clone https://github.com/deviantony/docker-elk... 2022. 4. 18.
[자료구조론] Queue 웹 개발자 일을 하면서 Queue 을 사용하는 경우를 겪어보지 못하였습니다. 대학교 2학년때 배웠던 데이터구조론에서 자료구조에서 배웠던 기억과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면서 배웠던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실제 개발 환경에서는 사용해보았던 적이 없습니다. RabbitMq , Kafka 등 에서 사용되는 Queue의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사용해본적 역시 없습니다. 먼저 Queue에서 제공하는 개념을 확인하고 메소드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RabbitMq 와 Kafka 를 이용한 실습예제까지 진행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Queue 를 보고 가장 먼저 떠올린것은 롤러코스터에서 사람들이 줄을 스는 것이었습니다. (그림과는 무관합니다. 롤러코스터 안 타본지 엄청 오래되었네요.) 모든 소스 코드는 Github를 .. 2022. 4. 10.
[자료구조론] Stack 정리 웹 개발자 일을 하면서 Stack 을 사용하는 경우를 겪어보지 못하였습니다. 대학교 2학년때 배웠던 데이터구조론에서 자료구조에서 배웠던 기억과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면서 배웠던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실제 개발 환경에서는 사용해보았던 적이 없습니다. Stack 의 자료구조는 마치 지금 내 책상위에 올려져 있는 책들과 비슷해보입니다. (물론 현재 제 책상은 아닙니다만…) 모든 소스 코드는 Github를 통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 소스바로가기 Stack이란? 이미지에서 보시는것처럼 Stack 은 쌓아올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Stack 특징 Stack 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선형 구조(LIFO) 입니다.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것은 top 이라고 하며, 이 top 에는 가장 최근에 들.. 2022. 4. 10.
[Java] 상수를 활용하자 상수의 활용 읽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노력 중의 하나로 매직 넘버 대신 상수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상수를 사용함으로 코드가 길어져서 오히려 가독성을 해치는 것이 아니냐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지보수를 하는 입장에서 생각을 해본다면, 의미 있는 상수로 인하여 코드의 길이는 조금 길어졌지만 가독성은 있는 경우 매직 넘버로 인해 코드의 길이는 조금 짧아졌지만 무슨 내용인지 모르는 경우 후자보다는 전자의 경우가 조금 더 나은 상황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후자를 선택해서 개발을 하다가 매직 넘버를 만나게 되었는데, 그 의미를 파악했다 하더라도 진짜 그 의도가 맞는지 담당자에게 확인해봐야 하는 커뮤니케이션 비용도 들어가게 됩니다. 사실, 매직 넘버 대신 상수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네이밍룰을 정.. 2022. 3. 20.
[회고] 2022년 1분기 회고를 시작하며.. 올해부터는 꼭 회고의 글을 쓰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회고 글을 쓰면서 1분기를 되돌아보고 무엇을 진행하였고, 무엇을 잘했으며, 무엇이 부족했는지.. 무엇보다 그때의 나의 감정들은 어떠하였는지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2022년 1분기 매일 기록 남기기 2022년 1월이 되면서 다짐한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매일 진행한 내용을 기록을 남기는 부분입니다. 다행이도 아직까지는 꾸준히 작성을 하고 있습니다. 그날 진행한 내용과 TODO를 통해서 추후 정리가 필요한 내용을 분리하여 작성하고 있습니다. 작성하는 포맷 자체의 얽메이지 않고 최대한 자유롭게 적어서 기록의 목적을 최대한 살리고 있습니다. 기록의 대한 부분은 현재 Github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재미는 없습니다..) 작성 포.. 2022.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