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45 [RabbitMq] spring-boot-starter-amqp 활용 publish-subscribe 실습을 위해서 RabbitMq 설치를 진행하였습니다. Spring boot 를 이용하여서 Publisher-Subscribe 예제 프로젝트를 직접 만들어어보고 이해도를 높여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RabbitMq의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단순하게 작성을 하였습니다. 메시지 프로세스 Publisher 메세지 발생 주체가 메세지를 발생 시킵니다. 메세지를 RabbitMQ의 API를 이용해 RabbitMQ 영역으로 보내게 됩니다. RabbitMQ의 API는 rabbitTemplate을 이용해서 RabbitMQ와 통신을 쉽게 해줍니다. Exchange 가 메세지 내용을 확인합니다. 어느 Exchange로 보내는지에 대한 정보와 이 Exchange는 어느 Queue로 routing이 되야 하.. 2022. 8. 7. [Spring] 비동기(@Async) API 처리 예시 비동기 처리를 위한 API 설계를 위해서 개념과 관련된 내용에 정리를 진행한 후 Spring boot를 이용하여서 비동기 처리를 위한 방식에 대해서 예제를 진행하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동기와 비동기에 대한 개념부터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동기와 비동기 비동기는 데이터의 요청과 결과과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동기는 데이터의 요청과 결과가 한 자리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개념적인 부분도 의미를 파악해볼순 있겠지만 예시를 들어서 좀 더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동기 커피숍에서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 커피숍에 들어갔습니다. 커피를 주문받는 직원과 커피를 만드는 바리스타 직원이 있습니다. 커피를 주문받는 직원에게 커피를 주문하니 진동벨을 주었고 주문받은 커피.. 2022. 7. 23. [Kubernetes] minikube 설치 이전 회사에서 MSA 방향성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기존 Monolithic 아키텍처에 익숙한 입장에서 불편한 느낌은 지울수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MSA 환경 구축을 위해서 k8s 환경에서 개발을 진행하다보니 장점이 많았습니다. 물론 조직의 규모가 작거나 서비스가 작다면 MSA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집에서 MSA 환경을 구축 및 실습하기 위해서 Kubernetes 를 설치하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Kubernetes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마스터와 각 노드의 구조를 갖춰야 하지만 이는 로컬 환경에서 갖추기 위해서는 과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찾아보니 Minikube 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Minikube 는 로컬 환경에서 Kubernetes 환경을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 2022. 7. 23. [Oracle19c] MacOS docker 설치 JPA 실습을 위해서 테스트용 Oracle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였습니다.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Oracle 12c를 많이 사용하겠지만, Oracle 12c의 Enterprise Edition이 이번에 EOS 가 되었습니다. EOS를 확인해볼 수 있는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Oracle EOS 확인 사이트에 접속하면 Oracle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제품군에 대해서 서비스 지원에 관한 내용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Oracle Database의 경우, Oracle Technology Products (PDF)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Oracle Database Releases의 Enterprise Edition 12.1 버전의 EOS가 2022.07에 끝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2022. 7. 23. [RabbitMQ] MacOS docker 설치 회사에서 Message Queue 서버를 도입할 예정인데, 이와 관련하여서 개발 경험을 해본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Spring과 RabbitMQ 를 사용하여서 연동하는 간단한 예제를 만들어보고 좀 더 심화된 내용으로 만들어보면서 동작 과정을 파악해보려고 합니다. 그래서 첫 시간으로 RabbitMQ 개념 및 사용하는 방법 등을 알아보고 설치까지 완료하여보겠습니다. RabbitMQ란? queue에 대한 간단한 개념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자료구조론 Queue] https://www.cloudamqp.com/blog/what-is-message-queuing.html 오픈 소스 Message Broker(메시지 브로커) Message Broker(메시지 브로커)란? Publisher(송신자)로부.. 2022. 7. 23. [Java] List와 ArrayList List와 ArrayList의 비교를 통해서 인터페이스와 구현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장점은 어떤 부분이 있는지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바에서는 전체 사용자수, 오늘 등록한 주문수 등 복수의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List 를 사용합니다. 아래는 샘플 코드입니다. List lists = new ArrayList(); 그렇다면, 왜 이렇게 사용할까? 그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정리합니다. List List 는 선형 자료구조로 순서를 가진 항목들이 모여 있습니다. 먼저 List 는 Collection 의 하위 인터페이스입니다. public interface List extends Collection 2022. 7. 9.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