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를 사용하면서 application.yml
을 많이 사용합니다. 실제 프로젝트 환경에서는 로컬, 개발, 품질, 운영 환경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서버별로 습관적으로 환경설정 파일을 분리하여서해서 profile 수만큼 application.yml
을 생성해서 사용하였습니다.
물론, 이렇게 사용하면서 지금까지 문제되는 사항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설정된 정보가 변경되었을시에 해당 파일만큼 수정을 해야한다는 것이 불편하게 느껴졌습니다.
만약 공통설정 정보를 따로 관리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profile 의 종속적인 설정 정보를 제외한 공통 환경 설정 정보를 따로 관리하여서 만약 정보가 변경된다면 공통 설정 정보만 변경하여도 모든 profile의 환경 설정 정보가 반영이 됩니다.
외부 설정 파일이란?
-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설정 값들을 애플리케이션의 밖이나 안에 정의하여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설정값은 스프링 설정정보 또는 토큰 정보, 데이터베이스 접속 정보, API 서버 정보, 로그 설정 정보 등을 관리합니다.
applcation.properties란?
- 스프링부트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때 자동으로 로딩하는 파일로, key - value 형식으로 값을 정의하며 애플리케이션에서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applcation.yml
파일의 형식도 지원합니다.
테스트를 진행한 소스에서는 yml 파일 형식을 사용하였습니다.
우선 순위
Spring Boot의 구성 파일(application.properties 및 application.yaml)은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로 구성이 됩니다. 이 우선순위를 활용해볼 예정입니다.
- 해당 jar 파일안에 있는 외부 설정 파일(
application.properties
orapplication.yml
) - 해당 jar 파일안에 있는 특정 profile 외부 설정 파일(
application-{profile}.properties
orapplication-{profile}.yml
) - jar 파일 외부에 있는 외부 설정 파일(
application.properties
orapplication.yml
) - jar 파일 외부에 있는 특정 profile 외부 설정 파일(
application-{profile}.properties
orapplication-{profile}.yml
)
보시는 바와 같이, application.yml
파일을 먼저 로드한 후 각 Profile별 설정 파일인 application-{profile}.yml
파일을 로드를 하게 됩니다.
스캔 범위
Spring Boot는 응용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다음 위치에서 application.properties
및 application.yaml
파일을 자동으로 찾아 로드합니다.
classpath:/
classpath:/config/
file:./
file:./config/
위의 경로는 기본 경로이며, 필요하다면 경로를 직접 지정해줄수도 있습니다.
스캔 경로를 직접 지정
spring.config.location
에 별도로 설정 파일 위치가 명시되면 기본 위치값 위치들을 대체합니다
-Dspring.config.location=file:/home/config
스캔 경로 직접 + 기본경로 지정
spring.config.additional-location
으로 설정 파일 위치가 설정되면, 기본 위치들에 추가로 사용됩니다. 추가 위치들은 기본 위치보다 먼저 검색됩니다. 예를 들어, 추가 위치가 classpath:/custom-config/,file:./custom-config/
이면, 검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file:./custom-config/
classpath:custom-config/
file:./config/
file:./
classpath:/config/
classpath:/
현재까지 관리 방법
지금까지 프로젝트 소스를 구성할때 외부 설정 파일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습니다.
- application-local.yml
- application-dev.yml
- application-prod.yml
위와 같이 구성하였을때 장점과 단점을 생각해보았습니다.
먼저,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각 profile별 분리된 외부 설정 파일을 보장합니다.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통 설정이 변경되면 각 profile별로 전부 수정을 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서버의 port 18080일때 port 변경시 profile별 모든 외부 설정 파일을 변경해야 합니다.
변경 관리 방법
이번에 프로젝트 소스 구성시 기존 방법을 사용해보지 않고 아래 방법으로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공통된 외부 환경 설정 파일(application.yml
) 은 하나의 파일로 관리합니다.
- spring 의 설정 정보들, swagger 정보, 서버 포트 정보 등이 있습니다.
- application.yml 하나로 공통 설정 정보들을 관리합니다.
profile의 종속적인 정보들(application-{profile}.yml
) 은 분리를 해서 관리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접속 정보
- 내/외부 API 호출 정보
- application-local.yml, application-dev.yml, application-prod.yml 등으로 분리해서 각 설정 정보들을 관리합니다.
위와 같이 구성하였을때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통된 설정 정보와 profile별 설정 정보가 분리되어서 구분하기 편합니다.
- 공통된 설정 정보가 변경된다면 하나의 파일만 수정하면 됩니다.
개발 환경
- Spring Boot : 2.6.7
- application.yml 사용
- Java : 11
- IDE : Intellij
모든 소스는 Github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소스 바로가기
실습
application 환경설정 파일은 공통적인 속성을 관리하는 application.yml
과 각 profile별로 관리중인 application-{profile}.yml
로 설정하였습니다.
application 환경 설정 파일에 속성을 로드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에서 @Value
와 @ConfigurationProperties
을 활용하였습니다.
@Value
@Getter
@Component
public class ActiveProfile {
@Value("${server.port}")
private int port;
@Value("${spring.config.activate.on-profile}")
private String profile;
@Value("${spring.main.banner-mode}")
private String bannerMode;
@Value("${external.api.url}")
private String externalApiUrl;
}
@ConfigurationProperties
@Getter
@Setter
@Component
@ConfigurationProperties(prefix = "message.api")
public final class MessageConfig {
private String code;
private String name;
}
설정 도중 다음 속성은 꼭 놓치지 않고 설정해야 합니다.
setter 메소드가 없으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Component
설정 즉, Spring의 Bean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application의 환경설정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습니다.
application.yml
server:
port: 8080
logging:
level:
root: debug
spring:
main:
banner-mode: console
message:
api:
code: app
name: external-api
application-dev.yml
spring:
main:
banner-mode: off
config:
activate:
on-profile: dev
import: classpath:config/dev-config.properties
server:
address: dev.localhost
테스트
공통(application.yml
) 설정 파일에 대한 단위 테스트를 진행해보겠습니다.
@SpringBootTest
@ActiveProfiles("dev")
class ActiveProfileTest {
@Autowired
private ActiveProfile activeProfile;
@DisplayName("공통으로 설정된 port 번호를 확인한다.")
@Test
void serverPortTest() {
// then
assertThat(activeProfile.getPort()).isEqualTo(8080);
}
...
}
공통 application.yml
의 포트 정보를 확인하여서 테스트가 성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통(application.yml
) 설정에서는 banner-mode
가 console
로 설정되어 있지만, profile dev에서는 banner-mode
가 off
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선순위상 공통 설정을 먼저 확인한 후 각 profile별 설정을 확인합니다. 즉 off
가 적용됩니다.
@DisplayName("공통 설정으로 배너모드는 콘솔이지만 dev에서는 off 처리한다.")
@Test
void bannerModeTest() {
// then
assertThat(activeProfile.getBannerMode()).isEqualTo("false");
}
스프링부트가 로드시 application.yml
정보를 로드한뒤 application-dev.yml
정보를 로드하면서 banner-mode
가 console
에서 off
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리하여서 다음 테스트는 성공하게 됩니다.
application 파일안에 설정정보 import
실제 실무에서 한번도 사용해보지 않은 방법이지만 알아두기 위해서 실습을 진행하였습니다.
spring.config.import
를 활용하여서 custom 환경설정 파일 정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습니다.
properties 안에 정보는 호출할 외부 API url 정보를 설정하였습니다.
dev-config.properties
external.api.url=http://dev-host:8080/api
해당 정보를 정확하게 불러오는지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DisplayName("현재 설정된 active profile의 application 설정값을 확인한다.")
@Test
void currentProfileTest() {
// then
assertThat(activeProfile.getProfile()).isEqualTo("dev");
}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성공하게 됩니다.
마무리
- 스프링부트에서는
application.properties
,application.yml
를 로드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로드되는 우선순위를 이용하여서 공통으로 관리할 설정 정보와 profile의 종속적으로 관리할 설정 정보를 나눠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환경설정 파일은 기본 스캔 범위가 있으며, 직접 스캔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환경설정 파일은 스프링부트가 로드되면서 설정 파일을 스캔해서 로드를 합니다. 즉, 스프링의 등록된 빈이 있어야
@Value
,@ConfigurationProperties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환경설정 파일안에 custom 설정 파일을 import하여서 설정 정보를 로드할 수 있습니다.
참고
'프로그래밍이야기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JPA] 이력 구현해보기 (0) | 2022.08.21 |
---|---|
[Spring] 비동기(@Async) API 처리 예시 (4) | 2022.07.23 |
[Spring] Injection 정리 (0) | 2022.02.14 |
[Chaos Engineering] CM4SB 적용 내용 정리 (0) | 2022.02.13 |
[Chaos Engineering] 개념 정리 (0) | 2022.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