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llection2 [Java] List와 ArrayList List와 ArrayList의 비교를 통해서 인터페이스와 구현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장점은 어떤 부분이 있는지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바에서는 전체 사용자수, 오늘 등록한 주문수 등 복수의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List 를 사용합니다. 아래는 샘플 코드입니다. List lists = new ArrayList(); 그렇다면, 왜 이렇게 사용할까? 그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정리합니다. List List 는 선형 자료구조로 순서를 가진 항목들이 모여 있습니다. 먼저 List 는 Collection 의 하위 인터페이스입니다. public interface List extends Collection 2022. 7. 9. [자료구조론] Queue 웹 개발자 일을 하면서 Queue 을 사용하는 경우를 겪어보지 못하였습니다. 대학교 2학년때 배웠던 데이터구조론에서 자료구조에서 배웠던 기억과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면서 배웠던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실제 개발 환경에서는 사용해보았던 적이 없습니다. RabbitMq , Kafka 등 에서 사용되는 Queue의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사용해본적 역시 없습니다. 먼저 Queue에서 제공하는 개념을 확인하고 메소드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RabbitMq 와 Kafka 를 이용한 실습예제까지 진행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Queue 를 보고 가장 먼저 떠올린것은 롤러코스터에서 사람들이 줄을 스는 것이었습니다. (그림과는 무관합니다. 롤러코스터 안 타본지 엄청 오래되었네요.) 모든 소스 코드는 Github를 .. 2022. 4.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