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존성분리1 [엘레강트 오브젝트] 2.8 모의 객체(Mock) 대신 페이크 객체(Fake)를 사용하세요 이 내용은 엘레강트 오브젝트 를 읽으면서 정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페이크(Fake) 한걸음 더 나아가기 정리 페이크(Fake) 테스트를 최적화하기 위한 도구인 모킹(Mocking)을 많이 사용하는데, 하지만 모킹 대신 페이크 객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페이크 클래스는 인터페이스의 일부이며 인터페이스와 함께 제공한다. 페이크 클래스가 실제 클래스보다 더 복잡한 경우도 존재한다. 페이크 클래스를 만족하도록 테스트를 작성하지 말고, 페이크 클래스가 테스트를 올바르게 지원하도록 작성한다. 프로덕션 코드 변경 시 단위 테스트 코드를 수정하지 않으면 실패하게 된다. 단위 테스트도 신경써서 수정해야 한다. 페이크 클래스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해당 인터페이스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해당 인터페이스 클.. 2023. 3.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