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레강트 오브젝트] 3.2 정적 메소드를 사용하지 마세요
이 내용은 엘레강트 오브젝트
를 읽으면서 정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객체 대 컴퓨터 사고
- 선언형 스타일 대 명령형 스타일
- 유틸리티 클래스
- 싱글톤 패턴
- 함수형 프로그래밍
- 조합 가능한 데코레이터
- 정리
정적 메서드를 사용하는 대신 객체를 사용해야 한다. 정적 메소드만 있는 객체는 소프트웨어를 유지보수하기 어렵게 만든다.
객체 대 컴퓨터 사고
컴퓨터처럼 생각하기
- 순차적인 사고 방식
- 컴퓨터는 어떤 한 위치에서 명령을 실행하기 시작하고 또 다른 위치에서 실행을 중단한다.
- 명렁의 실행 흐름을 제어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
- ex) 정적 메서드
객체지향적으로 생각하기
- CPU에게 할 일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정의
- 우리는 그저 누가 누구인지만 정의하고 객체들이 필요할 때 스스로 상호작용하도록 제어를 위임한다.
- ex) 객체를 생성
선언형 스타일 대 명령형 스타일
명령형 프로그래밍
- 프로그램의 상태를 변경하는 문장을 사용해서 계산 방식을 서술
public static int between(int l, int r, int x) {
return Math.min(Math.max(l, x), r);
}
- 필요한 그 시점에 즉시 수행되기 때문에 between()은 명령형 스타일의 연산자
- 메서드를 호출한 시점에 CPU가 즉시 결과를 계산
선언형 프로그래밍
- 제어 흐름을 서술하지 않고 계산 로직을 표현
class Between implements Number {
private final Number num;
Between(Number left, Number right, Number x) {
this.num = new Min(new Max(left, x), right);
}
@Override
public int intValue() {
return this.num.intValue();
}
}
- Between이 무엇인지만 정의하고, 변수 y의 사용자가 intValue()의 값을 계산하는 시점을 결정
선언형 방식이 더 좋은 이유
최적화
성능 관점에서 직접 통제할 수 있는 코드가 많을수록 유지보수하기도 쉬워짐
- 명령형 방식
public void doIt() {
int x = Math.between(5, 9, 13);
if (/* x가 필요한가? */) {
System.out.println("x=" + X);
}
}
- 선언형 방식
public void doIt() {
Integer x = new Between(5, 9, 13);
if (/* x가 필요한가? */) {
System.out.println("x=" + X);
}
}
- CPU에게 결과가 실제로 필요한 시점과 위치를 결정하도록 위임하고, CPU는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계산을 실행
다형성
- 다형성이란, 코드 블록 사이의 의존성을 끊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함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는 일급 시민이지만 정적 메서드는 그렇지 않음
- 객체를 다른 객체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기 위해서는 메서드나 주 생성자 어디에서도 new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Integer x = new Between(
new IntegerWithMyOwnAlgorithm(5, 9, 13)
);
표현력
알고리즘과 실행 대신 객체와 행동의 관점에서 사고하기 시작하면 무엇이 올바른지 느껴지게 될 것
Collection<Integer> evens = new LinkedList<>();
for (int number : number) {
if (number % 2 == 0) {
evens.add(number);
}
}
Collection<Integer> evens = new Filtered(
numbers,
new Predicate<Integer>() {
@Override
public boolean suitable(Integer number) {
return number % 2 == 0;
}
}
)
응집도
표현력의 예제서 사용한 코드를 보면, 컬렉션의 계산을 책임지는 모든 코드들은 한 곳에 뭉쳐 있기 때문에, 실수로라도 분리할 수 없다.
유틸리티 클래스
유틸리티 클래스란, 실제로는 클래스가 아니라 편의를 위해 다른 메서드들이 사용하는 정적 메서드들을 모아 놓은 정적 메서드들의 컬렉션으로 불린다.
유틸리티 클래스는 어떤 것의 팩토리가 아니기 떄문에 진짜 클래스라고 부를 수 없다.
class Math {
private Math() {
// 의도적으로 공백으로 남김
}
public static int max(int a, int b) {
if (a < b) {
return b;
}
return a;
}
}
유틸리티 클래스의 문제점
유틸리티 클래스 안에는 객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것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유틸리티 클래스는 분리할 수 없는 하드코딩된 의존성입니다
싱글톤 패턴
싱글톤은 논리적인 관점과 기술적인 관점 모두에서 전역변수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싱글톤의 문제점
class Math {
private static Math INSTANCE = new Math();
private Math() {}
public static Math getInstance() {
return Math.INSTANCE;
}
public int max(int a, int b) {
if (a < b) {
return b;
}
return a;
}
}
- Math 클래스는 싱글톤의 대표적인 예
- Math 클래스의 인스턴스는 오직 하나만 존재할 수 있고, 이 유일한 인스턴스의 이름은 INSTANCE
- getInstance()를 호출해서 이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음
함수형 프로그래밍
FP보다 OOP의 표현력이 더 뛰어나고 강력하다.
- FP에서는 오직 함수만 사용할 수 있지만 OOP에서는 객체와 메서드를 조합할 수 있다.
- 이상적인 OOP 언어에는 클래스와 함께 함수가 포함되어야 한다.
- 작은 프로시저로 동작하는 Java의 메서드가 아니라, 하나의 출구만 포함하는 순수한 FP 패러다임에 기반하는 진정한 함수를 포함해야 한다.
조합 가능한 데코레이터
조합 가능한 데코레이터는 그저 다른 객체를 감싸는 객체일 뿐입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names = new Sorted(
new Unique(
new Capitalized(
new Replaced(
new FileNames(
new Directory(
"/var/users/*.xml"
)
),
"([^.]+)\\.xml",
"$1"
)
)
)
);
- 해당 코드는 매우 깔끔하면서도 객체지향적
- 이 코드는 어떤 일도 실제로 수행하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은 일을 한다.
- 디렉토리(Directory) 안의
- 모든 파일 이름(FileNames)을
- 정규 표현식을 이용해서 치환하고(Replaced),
- 대문자로 변경하고(Capitalized),
- 중복된 이름을 제거해서 유일하게(Unique) 만들고,
- 다시 정렬해서(Sorted) 컬렉션에 담은 후,
- 이 컬렉션을 가리키는 names 객체를 선언한다.
Directory, FileNames, Replaced, Capitalized, Unique, Sorted 클래스 각각은 하나의 데코레이터입니다. 객체들의 전체적인 행동은 내부에 캡슐화하고 있는 객체들에 의해 유도됩니다.
연산자 if 대신 if 클래스를 제공
float rate;
if (client.age() > 65) {
rate = 2.5;
} else {
rate = 3.0;
}
객체 지향적인 방식으로 작성한 코드 코드
float rate = new If(
client.age() > 65,
2.5, 3.0
);
객체 지향적인 방식으로 조금 더 개선한 코드
float rate = new If(
new Greater(client.age(), 65),
2.5, 3.0
);
최종 코드
float rate = new If(
new GraterThan(new AgeOf(client), 65),
2.5, 3.0
);
- 이 코드는 순수하게 객체지향적인면서도 선언형
- 어떤 일도 하지 않으며, 오직 rate가 무엇인지만 선언
정리
- 올바른 객체지향 설계에서는 정적 메서드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 객체와 정적 메서드를 혼용해서 사용하지 말고 객체를 사용하도록 코드를 작성한다.
- 클래스가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들이 생성자에 제공되고 내부에 캡슐화되어야 한다.
- 많은 요소들을 캡슐화할 필요가 있다면, 클래스를 리팩토링 해서 더 작게 만들어야 한다.
- 작으면서도 조합 가능한 클래스들을 설계하고, 더 큰 객체를 조합하기 위해 작은 클래스들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더 작은 객체들을 기반으로 더 큰 객체들을 조합하는 작업이다.
- 소프트웨어 어디에서도 static 키워드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이것이 미래에 코드를 재사용할 누군가를 위하는 길이다.
관련해서 생각해볼 내용
생성자와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인스턴스 객체
정적 팩토리 메소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큰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이름을 지을 수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유의미한 정보를 전달 가능
만일, 생성자와 정적 팩토리 두 메서드가 해당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서 동일한 파라미터를 받는다면 정적 팩토리 메소드는 필요할까?
- 생성자로도 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 정적 팩토리 메소드를 사용하는 장점이 부각되지 않는다.
그래서 기준을 세워보면 좋다.
생성자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 인스턴스가 가지는 필드를 추가적인 가공없이, 필드와 동일한 타입의 파라미터를 받아서 생성하는 경우
정적 팩토리 메소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 특정한 로직을 통해 객체를 생성
- 클래스의 필드와 다른 타입을 통해 객체를 생성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필드와 다른 타입으로 객체를 생성하려고 한다면 분명 특정한 로직을 통해 타입 변경이 필요할 것이고, 이는 결국 첫번째 기준인 로직을 통해 객체를 생성
하는 부분이 되므로 결국 두 가지 내용은 동일하다.
다음은 예시 코드이다.
public class Names {
private final List<String> names;
public Names(final List<String> names) {
this.names = names;
}
public static Names from(final String nameInput) {
List<String> names = Array.stream(nameInput.split(","))
.map(String::trim)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new Names(names);
}
}
명확한 기준을 통해서 생성자와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구분지어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다.
- 생성자의 경우, 해당 코드를 보는 사용자는 어떠한 객체를 마주하더라도 (생성자를 통해) 생성할 때는
아무런 가공없이 전달하는 값으로 객체 생성
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 정적 팩토리 메서드의 경우,
직접 가공을 해서 객체를 생성해야 하는 불편함을 정적 팩토리 메서드에 전달해주면 특정한 로직을 통해 객체를 생성
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지금과 같은 관점으로 코드 전체적인 부분에서 일관되게 가져가면서 코드를 작성한다면 더 좋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